道 내 수도권정비계획법 권역 구분에 따른 공장 등록현황도(24년 7월 기준)/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규제 완화를 통한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 추진해 온 경기동부 대개발 계획의 가시적 성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1일 여주시 가남에 27만1,663㎡(약 8.2만 평)규모의 대형 산업단지 클러스터가 조성된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의 경기동부대개발 계획 일환으로 추진해 온 ‘여주 가남 일반산단 클러스터 조성’ 안건이 지난달 27일 국토교통부장관 직속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며 본격적으로 산단 클러스터 조성에 돌입한다.

여주시 등 경기도 동부권 8개 시군은 1983년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 이후 자연보전권역으로 지정돼 지난 40여 년 동안 꽁꽁 발이 묶여있던 곳이다.

이번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에 들어서는 최초의 대규모 산업단지 클러스터는 축구장 38개 크기로 그 존재 자체로 상징적 의미가 크다.

이에 경기도는 수도권 규제의 상징인 수도권정비계획법의 견고한 규제의 빗장이 하나씩 장벽이 허물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주시는 ‘여주 산단 클러스터’에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조성해 나간다는 계획을 밝힌만큼 필요한 행정절차를 마치고 연말부터 산단 클러스터 조성에 들어가 이르면 2027년 조성이 완료될 예정이다.

반도체 산업 등을 중심으로 직접고용 859명, 간접고용 383명 등 총 1,242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경제적 이익도 예상된다.

이는 지역 인구의 유입을 통해 주택, 교육, 소비의 증가로 지역경제 전반의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단지 클러스터 자체가 기관·인재 간에 지식, 자본, 기술이 빠르게 순환하는 생태계를 의미하기 때문에 다양한 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낳고 있다.

도는 정부와 협의, 수정법 입법취지를 살리며 일부 환경훼손의 우려도 있지만 수도권정비계획법의 목적인 자연보호에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동안 여주를 포함한 경기 동부권의 경우 전체 공장 7,221개 가운데 92%(6,640개)가 개별 공장 형태로 난립하고 있었지만 이번 산단 조성으로 소규모 개별 공장이 난립했던 난개발 문제도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연 지사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경기도는 여주 산단 클러스터를 시작으로 이재명 정부의 국토부와 협의해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입법취지를 살리면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길을 넓혀 제2, 제3의 여주 산단 클러스터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