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가 '새 정부 추경예산 대응 민생경제 점검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편성된 3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 “민생을 살릴 산소호흡기이자 긴급 수혈”이라며 “경기도가 정부와 보조를 맞춰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10일 도청에서 열린 ‘새 정부 추경예산 대응 민생경제 점검 회의’에서 “이재명 정부가 출범 한 달 만에 신속하게 민생 중심의 추경을 확정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경기도는 그동안 긴축재정 기조에 맞서 확장적 재정정책을 일관되게 펼쳐왔고, 자체 추경도 편성해왔다”며 “작년 연말부터 30조 규모의 추경 편성을 주장해왔는데, 이번 정부의 추경 규모가 그와 일치해 더욱 반갑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가 여기에 발맞춰 실질적 민생 효과를 내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실·국장들에게 “도민들이 추경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선제적이고 꼼꼼하게 준비하라”며 “특히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같은 핵심사업은 수요자 중심으로 설계하고, 혼선 없이 진행되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정부가 편성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은 총 13조9000억 원이며, 이 가운데 경기도에는 국비 3조1000억 원, 지방비 3500억 원 등 총 3조45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도는 오는 21일부터 신청 및 지급을 시작하며, 복지국 주관 하에 20명 규모의 전담 TF를 운영해 사업을 총괄할 방침이다.

김동연 지사가 '새 정부 추경예산 대응 민생경제 점검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특히 정보 접근성이 낮은 계층도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 체계를 정비하고, 실질적 소비 진작 효과가 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 설계를 강화하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추진해온 소상공인 ‘힘내GO카드’가 중소벤처기업부의 ‘비즈플러스카드’로 전국 확대된 사례도 소개됐다. 김 지사는 “경기도의 민생정책이 정부 차원에서 채택돼 전국화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복지, 사회적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도 도가 선도적 모델을 계속 제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추경에 따라 지역사랑상품권 국비 지원도 역대 최대인 29조 원 규모로 확대된다. 경기도는 이에 발맞춰 지역화폐 충전 한도를 최대 200만 원까지 상향하고, 기존 6%였던 할인율도 7~10%로 높일 방침이다. 또한 영화, 공연, 스포츠, 관광 등 5대 소비 진작 쿠폰과 ‘경기 LIFE 플랫폼’을 연계해 할인 혜택을 병합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김동연 지사가 '새 정부 추경예산 대응 민생경제 점검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이 밖에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중소기업 근로자 휴가비 지원 ▲저임금 노동자 사회보험료 지원 ▲AI 인프라 확산 ▲축사시설 개선 등 다양한 민생정책이 논의됐다.

김 지사는 “추경은 단기적으로는 민생을 살리는 응급조치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경기도는 첨단기술과 전통 제조업을 연결하는 AI 융합 정책에도 앞장서 달라”고 주문했다.

끝으로 그는 “경기도는 국정의 제1파트너로서 이재명 정부와 함께 민생의 사각지대를 먼저 발굴하고, 실질적 대안을 통해 전국으로 퍼질 수 있는 성공 모델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