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가 지난 2월 26일 여주 SKB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경기도가 오는 11월 발사 예정인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를 통해 지방정부 차원의 기후정책을 한 단계 끌어올릴 전망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임기 후반기 핵심 과제로 추진해온 ‘기후위성 프로젝트’가 본궤도에 오르면서, 경기도는 국내 지자체 최초로 우주 기반의 기후 대응 체계를 갖추게 된다.
도는 8일 “경기기후위성 1호기 발사를 계기로 ▲기후정책 고도화 ▲국제 규제 대응 ▲산업 육성 ▲국제 협력 등 네 가지 정책 효과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발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진행되며, 구체적인 일정은 최종 조율 중이다. 지구 저궤도에서 3년간 운용될 광학위성 1호기는 경기도 전역의 기후·환경 데이터를 정밀 수집해 도내 온실가스 배출 및 기후재난 대응 정책에 직접 활용된다.
경기기후위성 프로젝트는 지난해 8월 김동연 지사가 기자간담회에서 “기후 대응의 과학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로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10월 기본계획이 수립됐고, 올해 초 위성 개발·운용기관 공모를 거쳐 7월 개발이 완료됐다. 현재는 9월 진행된 탑재체 항공시험을 마치고 발사 준비의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다.
경기기후위성은 광학위성 1기와 온실가스 관측위성 2기 등 총 3기로 구성된다. 발사 후에는 ▲토지이용 현황의 정밀 모니터링 ▲메탄 등 온실가스 배출원 식별 및 배출량 추정 ▲홍수·산불·산사태 등 기후재난 피해 상황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위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경기기후플랫폼’과 연계해 ‘온실가스 관측 지도’로 시각화함으로써 산업단지 등 특정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내 시·군의 기후정책 수립을 과학적으로 지원하고, 농업·축산업 등 온실가스 다배출 분야의 실측 기반 정책 설계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강화되는 글로벌 규제에 선제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위성 데이터를 활용해 자사 탄소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감축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기후 관련 위성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공유함으로써 ‘기후테크(Climate Tech)’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경기도형 우주·기후 산업 생태계 조성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경기도는 “기후위성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동시에 새로운 산업적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이번 발사는 지방정부가 중심이 되어 기후위성과 데이터를 운용하는 첫 사례로, 국제 기후협력과 국가 우주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기도가 기후정책과 기술 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