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지역균형발전재단은 10일 오전 국회 세미나실에서 비젼선포식을 하고,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뉴스영 공경진 기자) 재단법인 지역균형발전재단은, 10일 오전 국회 세미나실에서 비전선포식을 열고, ‘지역균형발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수도권 일극 중심의 국가발전 패러다임을 넘어, 지역 주도의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원, 강대식, 조정훈 국회의원을 비롯해 전·현직 지방자치단체장 20여 명이 참석했으며, “지금까지의 발전이 수도권 중심의 성장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지역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데 모두 공감하며 자리를 함께했다.
지역균형발전재단 김기현 이사장은 기조연설에서 “지역은 더 이상 변두리가 아니다. 고유한 잠재력을 가진 미래의 주인공이며,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균형의 중심축”이라며,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비전과 의지를 담아 재단의 향후 방향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지역과 수도권 간 불균형 문제는 오랜 시간 누적된 구조적 과제로, 국가 경쟁력 저하와 국민 삶의 격차를 초래해왔다. 이에 재단은 지역 균형을 위한 네 가지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균형 있는 성장 기반 구축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스마트 인프라 및 교육 혁신 ▲함께 성장하는 상생의 대한민국이 그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발전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비전도 발표됐다.
재단법인 지역균형발전재단은 10일 오전 국회 세미나실에서 비젼선포식을 갖고 정책토론회를 했다.
이번 정책토론회에서는 단순한 담론이 아닌 실천 가능한 해법을 찾기 위한 현장 중심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정치·행정의 수직적 구조를 넘어서야 하며, 진정한 균형발전은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재단은 국제 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업 중 하나로 남태평양 팔라우에서 추진 중인 ‘한국인 징용·위안부 희생자 추모공원 지원사업’을 소개하며 눈길을 끌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팔라우 지역에 강제 징용돼 희생된 한국인은 약 6천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팔라우 정부는 대통령궁 인근에 희생자 추모공원을 조성했으나, 지금까지 한국 정부나 민간 단체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이 추모공원은 팔라우 명예한인회장이 사비로 관리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균형발전재단은 해당 공원에 대한 공식 후원은 물론, 추후 유해 발굴 및 송환까지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재단 관계자는 “이는 대한민국의 국격과 역사적 책임에 직결된 문제로, 국가 차원의 공적 개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처칠의 말을 인용하며, 재단은 이번 비전선포식을 통해 지역의 잠재력과 책임을 함께 껴안는 균형발전 시대의 새로운 출발을 선언했다. 지역이 곧 국가라는 인식이 현실로 뿌리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