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가 국회도서관 소강아네서 열린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경기도


(뉴스영 이현정 기자) 김동연 지사는 25일 자신의 SNS 페이스북에 “미군 반환공여구역을 새로운 기회의 땅, 성장동력으로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며 반환공여구역 개발 구상을 위한 네 가지 전략을 말했다.

그러면서 “캠프별, 지역별 특성에 맞게 특색을 갖는 도시로 만들어 경기북부와 대한민국 지도를 새로 그리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열린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에서 “오랫동안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반환공여구역 문제가 국민주권정부 들어서면서 큰 걸음을 내딛게 됐다. 대통령께서 반환공여구역 처리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하라고 하시면서 각별한 관심을 보여주시고 계시기 때문”이라며 “경기도는 국민주권 정부와 함께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섯 개 시와 협력해서 반환공여구역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중앙정부에 떠넘기지 않고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주도성, 전향성, 지역 중심이라는 3대 원칙과 4가지 정책 방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첫째, 지방정부 최초로 도 차원에서 획기적으로 재정을 투입 ▲둘째, 철도·지방도 등 반환공여구역과 연계한 교통인프라를 대폭 확충 ▲셋째, 경기도부터 선제적으로 규제를 완화해 투자 환경 개선 ▲넷째, 국회·중앙정부와 협력해 법과 제도 개선 등을 제안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 내 22개 반환공여구역이 어떤 곳은 기업도시로, 어떤 곳은 문화도시로, 어떤 곳은 생태도시로 저마다의 특색을 가짐으로써 도민의 삶을 바꾸고, 도시의 색깔을 바꾸고, 경기북부와 대한민국 지도를 새로 그리는 마중물이 되도록 하겠다”며 “경기도는 국정 제1동반자로서 중앙정부와 함께 강력하게 성공적인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내 반환공여구역은 총 34개소(173㎢·5,218만 평)로 전국의 96%를 차지하며, 이 중 여의도 면적의 25배에 달하는 22개소(2,193만 평)가 개발 가능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