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근시장이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 관계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화성시


(뉴스영 이현정 기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동네 행정복지센터를 찾았는데, 다양한 지원을 받으며 우리를 위한 안전망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위로가 됐다”

화성시 동탄에 거주하는 40대 A씨가 화성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의 도움을 받고 이같이 말하며 센터의 도움에 감사를 표했다.

A씨는 갑작스런 사건으로 인해 가족의 삶 전체가 송두리째 흔들리면서 빚 독촉에 시달렸다.

A씨의 사연은 동탄 소재 행정복지센터의 공무원을 통해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로 연계됐고 A씨의 가족이 단순 채무 문제가 아닌 주거·고용·건강·심리·가족 문제까지 얽힌 초위기 가구임을 즉시 파악했다.

이에 따라 센터가 총괄을 맡고, 화성특례시의 ‘원팀’이 즉시 가동됐다. ▲화성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는 신용회복위원회의 신속채무조정을 통해 빚 독촉을 중단시키고, 남편의 개인회생 변제금에 대해 법원에 납부유예를 요청해 절차 폐지위기를 막았다. 아울러 ▲동탄 행정복지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는 긴급생계비를 지원하며 생활 불안을 해소했다. ▲화성시사회복지협의회는 체납된 공과금을 해결했고, 어울림종합복지관은 월세를 지원해 주거 안정을 도왔다.

지난해 6월 11일 화성시는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사진=화성시


A씨는 기관의 전문적인 도움이 하나로 이어지자, A씨 가족은 다시 일어설 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듯 채무자 입장에서 화성특례시의 ‘원팀 적극행정’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삶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결정적인 힘이 되고 있다.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는 채무 상담에 그치지 않고 위기 가구가 필요로 하는 화성특례시 복지망과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강화해왔다.

센터 개소 이후 2024년 6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총 66건의 복지서비스 연계가 이뤄졌으며, 긴급생계비·사례관리 등 맞춤형 지원으로 위기 가구의 생활 기반을 지켜냈다. 이를 통해 화성특례시는 채무 위기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일상과 주거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튼튼한 안전망을 구축했다.

송진섭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장은 “우리의 역할은 서류 너머에 있는 한 사람의 삶 전체를 바라보고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 속에서도 기어이 길을 찾아내는 것”이라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진심 어린 상담을 통해 시민의 재기를 돕고 나아가 시민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도시가 화성이라는 믿음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채무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화성특례시는 누구나 무료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화성시금융복지상담지원센터는 화성시 향남읍 행정서로3길 50, 화성시남부종합사회복지관 1층에 위치해 있으며, 전화상담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