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의회 박상현 의원이 경기도 기초의회 최초 인공지능(AI) 산업·행정·교육 지원 조례 제정를 발의하고 있다.사진=군포시의회


(뉴스영 이현정 기자) 군포시의 AI산업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산업·행정·교육 전반에 걸친 AI 활용과 지원 기반이 제도적으로 마련됐다.

군포시의회 박상현 의원(국힘, 재궁동·오금동·수리동)이 발의한 인공지능(AI) 관련 3개 조례안이 18일 제283회 군포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지난 11일과 12일, 박상현 의원이 경기도 기최의회 최초로 발의한 이번 3개의 조례안은 ‘군포시 인공지능(AI)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안’을 비롯해 ‘군포시 인공지능행정 구현에 관한 조례안’, ‘군포시 인공지능 미래인재 양성 조례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 의원은 “인공지능 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혁신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고자 ‘군포시 인공지능(AI)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하게 되었다”며 조례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기반의 행정을 체계적으로 도입 및 운영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군포시 인공지능행정 구현에 관한 조례’ 제정의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군포시 인공지능 미래인재 양성 조례’를 제정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최근 군포시는 ‘웨어러블 로봇 실증센터 구축사업’ 등 최근 제조업과 IT 융합 산업을 중심으로 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AI산업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분야로 꼽힌다. 도시 전략과 맞물려 군포시가 ‘인공지능 행정 도시’, ‘첨단 산업 도시’, 그리고 ‘미래인재 교육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경기도 기초의회 차원에서 AI를 산업·행정·교육 전반에 걸쳐 종합적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사례는 첫 사례로 군포시의 사례가 향후 경기도 내 다른 기초자치단체로 확산될 경우, 지역 단위 AI 정책의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박 의원은 “첨단 혁신기술이 사회에 단순히 도입되는 것만으로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며 “AI기술도 마찬가지로 도입이 아니라 활용이 핵심인 만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정책으로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